교육후기방
[수습기자 기본교육] 제367기 수습기자 기본교육 참가자 후기(아주경제신문 박승호 기자)
- 작성자
- 김지현
- 작성일
- 2025-10-13 16:19:19
- 조회수
- 83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언론계 입사자들 모두가 입을 모아 꿈같은 시간이었다고 말하는 수습기자 교육이 끝났다<span dir="ltr" lang="EN-US">. </span>교육 기간 <span dir="ltr" lang="EN-US">2</span>주는 그야말로 쏜살같았다<span dir="ltr" lang="EN-US">. </span>꿈같은 시간이라지만 모든 일이 그렇듯 사실 지나고 있을 때 그걸 인식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span dir="ltr" lang="EN-US">. </span>나 또한 그랬다<span dir="ltr" lang="EN-US">. </span>지나고 보니 그 순간의 소중함을 더욱 되새기게 된다<span dir="ltr" lang="EN-US">. </span>계속해서 기자 생활을 해나감에 있어 아마도 이 시간이 많이 그리울 것 같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그럼에도 수업에 임한 자세에서만큼은 후회가 없다<span dir="ltr" lang="EN-US">. </span>만나 뵙기 힘든 강사님들의 이야기를 들을 소중한 기회라 인식했기에 나름 놓치지 않으려 매 순간 집중해서 들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그 어느 대학 수업 때보다도 더 열심히 들었던 것 같다<span dir="ltr" lang="EN-US">. </span>강의해 주신 분들 대부분이 한국 기자상 수상자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는 이런 기회를 마련해주신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무한히 감사해지기도 하였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아쉬움이 있다면 단지 나의 부족했던 적극성이었달까<span dir="ltr" lang="EN-US">. </span>우리 기수는 크게 아주미디어그룹<span dir="ltr" lang="EN-US">, </span>언론진흥재단<span dir="ltr" lang="EN-US">, </span>부산일보 세 회사에서 온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었다<span dir="ltr" lang="EN-US">. 2</span>주간 함께 교육을 들으며 식사 자리 등에서 이야기를 나누긴 했지만<span dir="ltr" lang="EN-US">, </span>수업 후 따로 만나는 등 적극적인 교류로까지는 나아가지 못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다행스럽게도 현재 후속 모임이 예정되어 있으니 그때는 내 노력도 더해 더욱 터놓고 친해질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다음으로 들었던 강의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span dir="ltr" lang="EN-US">. 2</span>주간 많은 교육이 있었고 훌륭하신 강사님들 모두께 감사드리지만 나에게 있어<span dir="ltr" lang="EN-US">, </span>특히 인상 깊었던 교육을 중심으로 기억을 더듬어보겠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주간조선 김효정 기자님은 인터뷰의 모든 것에 관해 알려주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개인적으로도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등 평소 인터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span dir="ltr" lang="EN-US">, </span>이번 강의를 통해서 기자로서 프로다운 인터뷰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김 기자님은 철저한 질문 준비와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인터뷰는 신뢰와 공감을 바탕으로 자연스러운 대화 흐름을 만들어야 하며<span dir="ltr" lang="EN-US">, </span>인터뷰 후 현장에서 키워드를 정리하고 복기하는 과정도 필수적이라고 말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또한 인터뷰 섭외 시에는 매체 소개<span dir="ltr" lang="EN-US">, </span>취재 목적<span dir="ltr" lang="EN-US">, </span>인터뷰 방식 등을 명확히 알리고 예의를 지키는 것이 기본임을 강조하셨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강원일보 최기영 기자님은 강원일보 기획 <span dir="ltr" lang="EN-US"><</span>광부엄마<span dir="ltr" lang="EN-US">></span>를 중심으로 기획 기사 쓰기에 대해 말씀해 주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최 기자님은 여성 광부인 <span dir="ltr" lang="EN-US">‘</span>선탄부<span dir="ltr" lang="EN-US">’</span>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된 후<span dir="ltr" lang="EN-US">, </span>그들의 삶을 중심으로 한 기획 기사를 통해 탄광촌의 모순적 현실과 산업화의 기억을 그려내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획보도의 핵심은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아도 독자가 그릴 수 있게 만드는 것이며 사람의 체온을 느낄 수 있는 기사를 써야 한다고 말씀하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자 생활 <span dir="ltr" lang="EN-US">20</span>년 차가 다 되어가지만<span dir="ltr" lang="EN-US">, </span>여전히 기록자로서의 사명감으로 취재에 임하고 있다고 말씀이 무척 인상적이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그 열정을 온전히 느낄 수 있었기에 강의를 듣고 집에 가는 길에 <span dir="ltr" lang="EN-US"><</span>광부엄마<span dir="ltr" lang="EN-US">></span>의 모든 기사를 찾아 읽기도 하였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한국일보 유대근 기자님은 세월호 <span dir="ltr" lang="EN-US">10</span>주기 기획 <span dir="ltr" lang="EN-US"><</span>산 자들의 <span dir="ltr" lang="EN-US">10</span>년<span dir="ltr" lang="EN-US">></span>을 중심으로 탐사<span dir="ltr" lang="EN-US">·</span>심층 보도에 대해 말씀해 주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유 기자님은 모두가 안다고 생각하는 사건을 낯설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이를 위해 이번 기획에서는 내러티브 형식을 활용하여 독자들에게 새로운 감각을 주고자 하였다<span dir="ltr" lang="EN-US">. </span>그와 더불어 <span dir="ltr" lang="EN-US">10</span>년 전 취재를 돌아보며 <span dir="ltr" lang="EN-US">“</span>기자로서 너무 급했다<span dir="ltr" lang="EN-US">"</span>라는 성찰의 말씀 역시 해주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계속해서 성찰하고 배우시는 기자님의 모습을 통해 끊임없이 더 좋은 기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이야기를 전해주신 기자님들은 모두 계속해서 현장을 다니며 자신을 철저히 관리하는 분들이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이분들을 본받아 나 또한 초심을 잃지 않고 계속해서 정진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나아가 좋은 기사를 써 이달의 기자상<span dir="ltr" lang="EN-US">, </span>한국기자상을 받고 싶다는 의지 또한 불태우게 되었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마지막으로는 팀플이라고 할 수 있는 언론윤리세미나의 기억을 남겨보고자 한다<span dir="ltr" lang="EN-US">. </span>모든 조가 열심히 준비해 짧은 시간 안에 퀄리티있는 발표를 해내는 걸 보며 내가 정말 멋진 사람들과 함께 교육을 들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또 중간에 의도치 않은 일도 있었지만<span dir="ltr" lang="EN-US">, </span>그냥 넘어가지 않고 적확하게 지적해 준 동료가 있었기에 모두들 많이 배울 수 있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함께한 모든 분께 감사드리며 또 만나길 기대하겠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좋은 교육해 주셔서 감사합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잘 들었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span></p>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 </di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