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

종합교육연수원_장관상_수상

검색
검색
교육후기방
[수습기자 기본교육] 제367기 수습기자 기본교육 참가자 후기(아주프레스 이정우 기자)
작성자
김지현
작성일
2025-10-13 16:18:28
조회수
134
<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lt;이를테면 회화나무 같은 것&gt;</span></span></p> <ul> <li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한국언론진흥재단 제367기 수습기자 기본교육 참가 후기</span></span></li> <li style="text-align:center">&nbsp;</li> </ul> <p style="text-align:center">&nbsp;</p> <p style="text-align:right"><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아주프레스 이정우</span></span></p> <p style="text-align:right">&nbsp;</p> <p style="text-align:right">&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ldquo;Once upon a time there was a boy who loved a girl, and her laughter was a question he wanted to spend his whole life answering.&rdquo; 옛날에 한 소녀를 사랑한 소년이 있었고, 그녀의 웃음은 그가 평생 동안 대답하고 싶었던 질문이었다. 니콜 크라우스의 소설 &lsquo;사랑의 역사&rsquo;의 한 구절이에요. 제가 아는 가장 아름다운 한 문장을 고르라고 한다면 저는 이 문장을 고를 거예요. </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평생을 들여서 응답하고 싶은 질문. 서른을 전후한 신입사원들과 수습기자들에게 입사 후 첫 몇 달은 각자 그 질문을 찾는 시기일 텐데요, 저는 그러한 시기에 한국언론진흥재단 수습기자 기본교육을 받은 걸 기쁘고 감사하게 생각해요. 아직 답은 커녕 질문조차 온전히 포착하진 못했지만, 교육을 받는 이 주간 그것의 긴 꼬리는 찾는 데 성공했거든요. 들뢰즈의 표현을 빌리자면 &ldquo;사유하도록 강제하는 것과의 우발적인 마주침&rdquo;이라는 측면에서도 그것이 가능했지만 무엇보다 그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프로그램과 동료들이 좋았기 때문일 거예요.</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570살 회화나무가 서 있는 정동의 늦여름. 9월 15일부터 9월 26일까지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 신입사원 여섯 명, 부산일보 기자 두 명, 아주경제신문 기자 일곱 명과 아주프레스 기자 세 명이 수습기자 기본교육을 받았어요. </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동아일보 기자 출신 송상근 이대 교수께 스트레이트 기사 작성법을 배운 뒤, 직접 작성한 기사에 대한 논평을 듣는 시간이 있었어요. 탄광촌의 여성 광부인 &lsquo;선탄부&rsquo;를 취재한 &lsquo;광부엄마&rsquo;의 강원일보 최기영 선배와 세월호 참사 10주기 특별기획 &lsquo;산 자들의 10년&rsquo;의 한국일보 유대근 선배가 기획보도에 대해, 작년 12월 3일에 국회에 투입된 계엄군의 모습을 담은&nbsp;&lsquo;다시 보고 싶지 않은 서울의 밤&rsquo;을 촬영한 조선일보 사진부 김지호 선배가 포토저널리즘에 대해 강의해 주었습니다.</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뛰어난 경제기사와 인터뷰 기사로 이름난 선배들의 강의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협업 과정으로 마련된 &lsquo;자살 보도와 취재 윤리&rsquo; 등 훌륭한 강의도 많이 듣고,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와 국립중앙박물관에 견학도 다녀왔습니다. 이토록 밀도 높은 이 주 동안 저에게 가장 인상 깊었던 건 두 가지입니다. 언론윤리세미나와 점심 식사. </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먼저 언론윤리세미나. 무작위적으로 배정된 네 개의 조가 각각 언론윤리적 주제를 선정하고 함께 준비해 발표하는 프로그램이었는데요, 저는 이걸 준비하는 과정과 발표 모두 되게 재미있었거든요. 조원들 덕분이에요. 고마워요. 한국언론진흥재단 신입사원분들과 세 번 점심을 함께 먹으면서 이야기를 나눴는데, 지금도 이 시간이 이따금 떠올라요.&nbsp; </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이 글의 결미에서는 shout-out을 하고 싶어졌어요. 한국언론진흥재단 김지현 과장님을 비롯해 지난 교육을 위해 애써 주신 모든 재단 관계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그리고 함께 교육을 들은 분들께. 행여 이 글을 보신다면. </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겨자씨를 보신 적 있나요? 알갱이가 살아있는 머스타드를 먹을 때면 볼 수 있죠. 둘레가 16km(40리)인 원기둥 안에 겨자씨가 가득 차 있어요. 백 년마다 </span></span><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이 겨자씨를 하나씩 꺼내서 원기둥 안에 겨자씨가 완전히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 이 시간이 한 겁(劫)이래요. 살면서 단 한 번 서로의 소매가 스치는 사이로 만나려면 500겁, 함께 걷는 하루를 보내려면 2천겁의 세월이 필요하대요. </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마하바이로차나가 설한 계율을 담은 범망경에 나오는, 유명한 이야기이죠. 이 주를 함께 보내기 위해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시간을 통과해 왔을까요? 모두 반갑고 고맙고 만나서 기뻤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1pt"><span style="font-family:&quot;맑은 고딕&quot;">이를테면 회화나무 같은 것. 회화나무는 악귀를 물리친다고 해요. 그래서 궁궐에 회화나무를 심었다고 하죠. 570살 회화나무가 사는 곳에서 우리가 처음 만났죠. 모두의 오랜 평화를 빕니다. </span></spa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