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후기방
[KPF 대학언론 저널리즘 아카데미] 명지대학교 박영주 (명대신문)
- 작성자
- 김영환
- 작성일
- 2025-07-10 16:04:28
- 조회수
- 9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중학생 때부터 줄곧 언론인이 되고 싶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내가 살아가는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내버려두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문제를 정확하게 파헤치고<span dir="ltr" lang="EN-US">, </span>글로 정의하며 비로소 알아내고 싶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대학생이 되어 뉴스를 만들겠다는 꿈을 안고 학보사에 들어갔다<span dir="ltr" lang="EN-US">. </span>나와 같은 대학생 기자들은 지면 속에 학내 이슈를 정리하고 학생들의 목소리를 담아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그러나 나는 학교를 실추시키지 말라는 압박에 거듭 직면했다<span dir="ltr" lang="EN-US">. </span>학보는 학교의 재원으로 발간되는 신문이었기 때문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여러 편의 기사를 쓰고 직급이 높아져도 저널리즘이 무엇인지 답하기란 어려웠다<span dir="ltr" lang="EN-US">. </span>언론인이 되고 싶은데 언론이 무엇인지 자꾸 헷갈렸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한국언론진흥재단의 <span dir="ltr" lang="EN-US">‘KPF </span>대학언론 저널리즘 아카데미<span dir="ltr" lang="EN-US">’ </span>과정을 통해 나는 언론에 대한 내 주관을 확립하고 싶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대학 언론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 교육에서는 현직 언론인과 관련 종사자들께 수업을 들으며 저널리즘에 대한 지식을 익힐 수 있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이 소중한 기회를 통해서 나는 언론인이 되고 싶다는 꿈을 다시금 견고히 다지자고 마음먹었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사흘 동안 여덟 분의 연사들께서 각각 <span dir="ltr" lang="EN-US">2</span>시간 내외의 강연을 들려주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현직 기자님들께서는 신문의 기본적인 스트레이트부터 사건 취재<span dir="ltr" lang="EN-US">, </span>탐사보도에 이르는 다양한 기사 작성법을 알려주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자님들의 강의에서 특히 좋았던 점은<span dir="ltr" lang="EN-US">, </span>각각의 강의에 기자님들이 직접 작성하신 기사가 등장해 수업이 더 생생하게 다가왔다는 점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자님들께서는 기사를 기획한 개요부터 취재 과정<span dir="ltr" lang="EN-US">, </span>난항까지도 자세히 설명해주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평소 궁금했지만<span dir="ltr" lang="EN-US">, </span>언론인 지망생으로는 알 수 없었던 실무적인 궁금증도 해소할 수 있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자님들은 손을 드는 학생이 더 이상 없을 때까지 질문의 기회를 주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자라면 질문해야 한다며 섬세한 답변을 주시고 호기심을 기특하게 바라봐주시는 것이 참 감사했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pan dir="ltr" lang="EN-US">‘</span>기사<span dir="ltr" lang="EN-US">’, ‘</span>기자<span dir="ltr" lang="EN-US">’, ‘</span>언론<span dir="ltr" lang="EN-US">’ </span>등 직관적인 관념으로만 존재했던 단어들의 의미를 새롭게 고민할 수 있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특히 인공지능이 도래한 시대 속 취재 기자의 가치는 무엇일지 신중히 생각해 보았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사 작성법과 더불어 맞춤법<span dir="ltr" lang="EN-US">, </span>취재 윤리<span dir="ltr" lang="EN-US">, </span>정보공개청구법을 다루는 강연도 이뤄졌는데<span dir="ltr" lang="EN-US">, </span>이를 통해 뉴스를 생산하는 주체가 가져야 할 책임감과 언론의 공공성에 대해서도 돌아보게 되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나는 본 아카데미가 진정 올바른 저널리즘을 하려는 미래의 <span dir="ltr" lang="EN-US">‘</span>언론인<span dir="ltr" lang="EN-US">’</span>들을 응원한다는 것을 느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많은 품이 들었을 것으로 보이는 프로그램 진행의 체계성과 연사님들의 모든 진심에 신청하기를 정말 잘했다<span dir="ltr" lang="EN-US">, </span>하는 생각이 강연 중간중간 떠올랐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
<p> </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기자님들께서는 하나같이 학생들에게 기자 업무가 정말로 고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자는 모두를 향해 달려가면서도 계속해서 스스로와 싸워야 하는 삶을 사는 직업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물론 힘들 것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지치고<span dir="ltr" lang="EN-US">, </span>아플지도 모른다<span dir="ltr" lang="EN-US">. </span>하지만 강연하시는 기자님들의 눈이 하나같이 반짝였기 때문일까<span dir="ltr" lang="EN-US">. </span>교육이 모두 끝난 현재<span dir="ltr" lang="EN-US">, </span>나는 <span dir="ltr" lang="EN-US">‘</span>언론인<span dir="ltr" lang="EN-US">’</span>이라는 단어에 여전히 설렌다<span dir="ltr" lang="EN-US">. </span>선망하는 꿈에 대한 환상을 넘어 그 내밀한 현실까지 들여다보게 되었지만<span dir="ltr" lang="EN-US">, </span>가슴은 더 빠르고 뜨겁게 뛰는 것 같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