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

검색
검색
교육후기방
[수습기자 기본교육] 제349기 수습기자 기본교육 참가자 후기(뉴시스 권신혁 기자)
작성자
관리자1
작성일
2024-06-03 16:19:46
조회수
325
<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font-size:14px"><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trong>기자의 </strong><span dir="ltr" lang="EN-US"><strong>&lsquo;</strong></span><strong>대체불가능성</strong><span dir="ltr" lang="EN-US"><strong>&rsquo;</strong></span></span></span></p>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nbsp;</div>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style="text-align:right"><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pan style="font-size:14px">뉴시스 권신혁 기자</span></span></strong></div>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nbsp;</div>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pan style="font-size:14px"><span dir="ltr" lang="EN-US">AI</span>는 기자를 대체할 수 없다<span dir="ltr" lang="EN-US">. </span>대체되어서도 안 된다<span dir="ltr" lang="EN-US">. 2</span>주간 한국언론진흥재단 수습기자 기본교육을 받은 뒤 내린 결론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고도로 발달한 인공지능과 이를 이용한 기술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산업시장에 모습을 드러낸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급작스러운 기술 발전으로 인류의 일자리가 위협받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반면 기자는 다른 직군과는 다르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자를 <span dir="ltr" lang="EN-US">&lsquo;</span>공인<span dir="ltr" lang="EN-US">&rsquo;</span>으로 보는 시각이 있듯<span dir="ltr" lang="EN-US">, </span>이 직업은 공익을 향한 일종의 사명감이나 책임감이 수반된다<span dir="ltr" lang="EN-US">. </span>그러나 이와 같은 추상적이고 막연한 의식으로는 기자의 대체불가능성을 설명할 수 없다<span dir="ltr" lang="EN-US">. </span>선배 기자들과 언론 관련 전문가분들의 강의를 들으며 기자는 무엇이 다른지<span dir="ltr" lang="EN-US">, </span>그리고 급격히 변화하는 <span dir="ltr" lang="EN-US">AI </span>시대 속에서 기자라는 존재만이 갖는 의의를 성찰해보았다<span dir="ltr" lang="EN-US">.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pan style="font-size:14px">기자 그리고 저널리즘의 본질은 인간에 대한 사랑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인간을 미워하는 것이 인간이듯<span dir="ltr" lang="EN-US">, </span>인간을 사랑하는 것 또한 인간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인공지능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는 의미다<span dir="ltr" lang="EN-US">. </span>선배 기자들의 취재기를 들어보니<span dir="ltr" lang="EN-US">, </span>공통점이 있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애정이 바탕이 됐다는 것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고운호 조선일보 기자는 <span dir="ltr" lang="EN-US">&lsquo;</span>포토저널리즘의 이해<span dir="ltr" lang="EN-US">&rsquo;</span>라는 제목으로 교육을 하시며 고드름으로 가득 찬 빌라의 모습을 보여주셨다<span dir="ltr" lang="EN-US">. </span>고운호 선배는 단순히 이 광경을 촬영해 보도하는 선에서 그치지 않았다<span dir="ltr" lang="EN-US">. </span>취재 후에도 현장을 재방문해 시설 복구를 도왔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이아름 경향신문 기자의 <span dir="ltr" lang="EN-US">&lsquo;</span>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span dir="ltr" lang="EN-US">&rsquo; </span>취재기도 마찬가지였다<span dir="ltr" lang="EN-US">. </span>여성<span dir="ltr" lang="EN-US">, </span>노인<span dir="ltr" lang="EN-US">, </span>노동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단순히 데이터와 통계를 분석해 얻어진 결과물이 아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취재원을 직접 만나 일상을 나누며 유대감을 형성한 것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남형도 기자의 강의는 인간에 대한 사랑의 극치를 보여주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선배는 일상적인 불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해 <span dir="ltr" lang="EN-US">&lsquo;</span>체험<span dir="ltr" lang="EN-US">&rsquo;</span>의 방식을 선택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그 어떤 방식보다 심리적 거리와 물리적 거리를 좁히는 취재 방식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인간 자체에 대한 사랑 없이는 시도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pan style="font-size:14px">자살 보도 윤리와 장애인 보도에 대한 강의에서도 기자가 갖추어야 할 인간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다뤘다<span dir="ltr" lang="EN-US">. </span>유명인의 극단적 선택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은다<span dir="ltr" lang="EN-US">. </span>자극적인 제목<span dir="ltr" lang="EN-US">, </span>구체적인 자살 수법 및 동기가 보도될 경우 조회수는 보장된다<span dir="ltr" lang="EN-US">. </span>하지만 유족들과 고인에 대한 존중과 배려는 뒷전으로 밀려난다<span dir="ltr" lang="EN-US">. </span>장애인 보도는 또 어떤가<span dir="ltr" lang="EN-US">. </span>기사의 리드에 장애인이 언급되는 순간 독자들의 관심은 커진다<span dir="ltr" lang="EN-US">. </span>그리고 이 관심은 때때로 편견으로 이어지기도 한다<span dir="ltr" lang="EN-US">. </span>그러나 기자는 인공지능과 달라야 한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인간이기 때문에 인간의 아픔과 슬픔에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span dir="ltr" lang="EN-US">. </span>클릭수<span dir="ltr" lang="EN-US">, </span>속보<span dir="ltr" lang="EN-US">, </span>단독에 매몰된 기자는 인간의 탈을 쓴 인공지능에 불과하다<span dir="ltr" lang="EN-US">.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pan style="font-size:14px">그럼에도 기자는 <span dir="ltr" lang="EN-US">AI</span>의 위협이 실재함을 인정하고 맞설 줄 알아야 한다<span dir="ltr" lang="EN-US">. </span>또한 <span dir="ltr" lang="EN-US">AI</span>를 통제하는 동시에 입맛에 맞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span dir="ltr" lang="EN-US">. </span>수습기자 기본교육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사 작성법에 대해 배웠다<span dir="ltr" lang="EN-US">. </span>구체적인 정보값을 입력하면 생성형 <span dir="ltr" lang="EN-US">AI</span>는 현직 기자가 작성하는 기사와 유사하게 결과물을 도출했다<span dir="ltr" lang="EN-US">. AI</span>는 정보 검색에도 탁월한 모습을 보였다<span dir="ltr" lang="EN-US">. </span>업무의 효율성을 고려하면 인간은 <span dir="ltr" lang="EN-US">AI</span>를 따라갈 수 없다<span dir="ltr" lang="EN-US">. </span>그러나 기자는 효율성을 최고의 가치로 두지 않는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인간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공익에 이바지해야한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이 과정은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한다<span dir="ltr" lang="EN-US">. AI</span>가 기자 <span dir="ltr" lang="EN-US">&lsquo;</span>인간<span dir="ltr" lang="EN-US">&rsquo;</span>의 업무를 도울 순 있어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span dir="ltr" lang="EN-US">. </span>위에서 언급했듯이 인류애는 오직 인간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다<span dir="ltr" lang="EN-US">. AI</span>가 기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세상을 상상해보자<span dir="ltr" lang="EN-US">. </span>극단적 선택을 한 고인<span dir="ltr" lang="EN-US">, </span>장애를 가진 취재원<span dir="ltr" lang="EN-US">, </span>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묵묵히 일하는 노동자들의 아픔을 고려하는 것이 아닌<span dir="ltr" lang="EN-US">, </span>단독과 속보에 매몰된 보도 형태가 주를 이룰 것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pan style="font-size:14px"><span dir="ltr" lang="EN-US">&lsquo;</span>기레기<span dir="ltr" lang="EN-US">&rsquo;</span>라는 말이 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삿거리만 되면<span dir="ltr" lang="EN-US">, </span>조회수만 보장되면 직업적 윤리와 원칙을 무시하고 무조건 보도하는 이들을 일컫는다<span dir="ltr" lang="EN-US">. AI</span>가 기자를 대체한다면<span dir="ltr" lang="EN-US">, </span>우리 사회엔 이러한 <span dir="ltr" lang="EN-US">&lsquo;</span>기레기<span dir="ltr" lang="EN-US">&rsquo;</span>가 넘쳐날 것이다<span dir="ltr" lang="EN-US">. </span>그렇다면 답은 간단하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인간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인류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으면 된다<span dir="ltr" lang="EN-US">. AI</span>에게 일자리를 위협하는 <span dir="ltr" lang="EN-US">2024</span>년<span dir="ltr" lang="EN-US">, &lsquo;</span>대체불가능성<span dir="ltr" lang="EN-US">&rsquo;</span>을 결정짓는 건 우리다<span dir="ltr" lang="EN-US">. </span></span></span></p>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nbsp;</div> </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