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

검색
검색
교육후기방
[수습기자 기본교육] 제348기 수습기자 기본교육 참가자 후기(서울경제신문 신서희 기자)
작성자
관리자1
작성일
2024-06-03 16:06:37
조회수
325
<p style="text-align:center"><strong><span style="font-size:14px"><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pan dir="ltr" lang="EN-US">&lt;</span>수강생 참가 교육 후기<span dir="ltr" lang="EN-US">&gt; </span></span></span></strong></p> <p>&nbsp;</p> <p style="text-align:right"><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pan style="font-size:14px"><strong>서울경제신문 신서희 기자</strong></span></span></p> <p>&nbsp;</p> <p><span style="font-size:14px"><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span dir="ltr" lang="EN-US">2024</span>년 <span dir="ltr" lang="EN-US">1</span>월 <span dir="ltr" lang="EN-US">15</span>일부터 <span dir="ltr" lang="EN-US">26</span>일까지 <span dir="ltr" lang="EN-US">2</span>주간 제<span dir="ltr" lang="EN-US">348</span>기 수습기자 기본교육에 참여했습니다<span dir="ltr" lang="EN-US">.</span> 본격적인 교육에 앞서 남정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본부장께서 짧은 환영의 말씀을 해주셨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기자의 숙명은 <span dir="ltr" lang="EN-US">&lsquo;</span>물어보는 것<span dir="ltr" lang="EN-US">&rsquo;</span>이라고 하신 게 기억에 남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아들을 잃은 어머니에게 <span dir="ltr" lang="EN-US">&#39;</span>당신의 아들은 어떤 사람이었는가<span dir="ltr" lang="EN-US">&#39;</span>마저 묻는 것이 기자의 일인가 봅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물음이 기자를 기자로 만드는 일이라면<span dir="ltr" lang="EN-US">, </span>좋은 질문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사람이 되겠다고 다짐하는 순간이었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가장 인상깊었던 강의를 두 개 골라보았습니다<span dir="ltr" lang="EN-US">.</span> 매 수업마다 배울 점이 너무나 많았지만 유독 즐거운 수업들이 저에게도 있었습니다<span dir="ltr" lang="EN-US">.</span> </span></span></p> <p><span style="font-size:14px"><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첫 번째는 이아름 경향신문 기자께서 들려주신 「우리가 명함이 없지<span dir="ltr" lang="EN-US">, </span>일을 안 했냐」 취재기입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평생 일을 했지만<span dir="ltr" lang="EN-US">, </span>일로서 인정받지 못하는 삶을 살아온 평범한 여성 노동자의 흔한 이야기를 흔하지 않게 그려낸 기사였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잘 쓴 기사는 특별하지 않은 일상을 조명하는 새로운<span dir="ltr" lang="EN-US">, </span>신선한 시각을 제시하는 것 같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이야기를 담을 새로운 그릇에 대해 고민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우리가 명함이 없지<span dir="ltr" lang="EN-US">, </span>일을 안 했냐」&nbsp;취재에는 주로 누구네 엄마<span dir="ltr" lang="EN-US">, </span>며느리 등으로 칭해지는 여성 노동자들을 지칭하기 위해 기존의 교열 규칙을 무시하고 이름을 호명했다는 점도 인상깊었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덕분에 인터뷰이의 <span dir="ltr" lang="EN-US">&lsquo;</span>사람으로서의 정체성<span dir="ltr" lang="EN-US">&rsquo;</span>을 더욱 잘 느낄 수 있었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일찍 남편을 떠나보내고 끊임없이 일을 하며 자신의 아이와 가정을 지켜냈던 많은 <span dir="ltr" lang="EN-US">&lsquo;</span>언니<span dir="ltr" lang="EN-US">&rsquo;</span>들이 한 말은 <span dir="ltr" lang="EN-US">&#39;</span>신나고 재밌었어요<span dir="ltr" lang="EN-US">&#39;</span>입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고난과 피로가 파도처럼 밀려와서 잠겨 죽을 지경에 이를지라도<span dir="ltr" lang="EN-US">, </span>삶에는 항상 나름의 즐거움과 기쁨이 있나 봅니다<span dir="ltr" lang="EN-US">. &#39;</span>지금도 출근하는 게 너무 좋아요<span dir="ltr" lang="EN-US">&#39;</span>라는 말과 함께 당당하던 <span dir="ltr" lang="EN-US">36</span>년 차 여성 선탄부의 자부심 역시 그 즐거움 중 하나려나요<span dir="ltr" lang="EN-US">. </span>해당 기사와 강의를 통해서 전업주부로 산 사람들이 우리 사회의 커다란 부분을 지탱하고 있었다는 점을 새롭게 배웠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취재에서 인터뷰에 미처 담지 못한 인터뷰이의 삶을 그려내기 위해 데이터저널리즘팀과 협업했다고 합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가까운 이야기를 멀리서 바라보게 하는 것이 데이터인 것 같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인터뷰와 데이터가 결합됐을 때 인물과 스토리 중심의 인터뷰 기사에 무게감이 실린다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span dir="ltr" lang="EN-US">.</span> 인터뷰와 데이터의 화음으로 만들어진 &nbsp;「우리가 명함이 없지<span dir="ltr" lang="EN-US">, </span>일을 안 했냐」 취재기처럼 동료와 소통하며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사람이 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span></span></p> <p><span style="font-size:14px"><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두 번째는 동아일보 정책사회부 김소영 기자의 <span dir="ltr" lang="EN-US">&#39;</span>자살보도 권고기준<span dir="ltr" lang="EN-US">&#39; </span>강의입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과 기자협회가 함께 만든 자살보도 권고 기준을 소개해 주신 뒤 자살 유가족<span dir="ltr" lang="EN-US">, </span>자살 생존자 등을 취재한 경험을 들려주셨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유명인 자살 보도가 일반인 자살 보도보다 <span dir="ltr" lang="EN-US">14</span>배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려주셨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권고 기준에 <span dir="ltr" lang="EN-US">&#39;</span>극단적 선택<span dir="ltr" lang="EN-US">&#39;</span>이라는 표현을 지양하라는 내용이 있었는데<span dir="ltr" lang="EN-US">, </span>유족이 선택을 막지 못했다는 죄책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신 게 기억에 남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39;</span>벼랑 끝 선택<span dir="ltr" lang="EN-US">&#39;</span>이나 <span dir="ltr" lang="EN-US">&#39;~</span>을 이기지 못해 자살<span dir="ltr" lang="EN-US">&#39; </span>등 자살을 극화하는 표현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을 새롭게 알았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무심코 쓰기 쉬운 표현들이라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39;</span>고인의 인격과 비밀도 살아 있는 사람을 대하듯 존중해야 한다<span dir="ltr" lang="EN-US">&#39;</span>라는 말씀은 가슴에 새겨야겠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생명과 죽음은 서로 양극단에 위치하는 듯하지만 그 무게는 다르지 않은 것 같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부지런히 생각하고 고민하며 기사에 죽음을 담을 때는 더욱 신중하겠습니다<span dir="ltr" lang="EN-US">.</span></span></span></p> <p><span style="font-size:14px"><span style="font-family:Arial,Helvetica,sans-serif">마지막으로<span dir="ltr" lang="EN-US">, 2</span>주간의 교육을 마무리하며 언론진흥재단에서의 시간을 <span dir="ltr" lang="EN-US">&#39;</span>벨 에포크<span dir="ltr" lang="EN-US">&#39;</span>라 부르고 싶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벨 에포크<span dir="ltr" lang="EN-US">(Belle &Eacute;poque)</span>는 유럽사의 시대를 구분하는 말인데 프랑스어로는 <span dir="ltr" lang="EN-US">&#39;</span>아름다운 시절<span dir="ltr" lang="EN-US">&#39;</span>을 뜻합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선배 기자들의 취재기를 들으며 그들의 경험 속에서 함께 헤엄하는 자유를 누렸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선배들의 눈빛 속에서는 타오르는 불꽃을 봤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즐겁고 행복한 시간이었다고 말할 만합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힘들고 어렵고 그럼에도 멋지지 않겠습니까<span dir="ltr" lang="EN-US">. </span>함께 교육을 받은 동료들과 기자 생활의 설레는 첫 발걸음을 힘차게 내딛겠습니다<span dir="ltr" lang="EN-US">. </span></span></span></p>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id="hwpEditorBoardContent">&nbsp;</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