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

검색
검색
수업지도안
수업지도안
작성자 김은선
차시 1
대상 고등학교
주제 평균의 종말, 중간이 사라지는 시대
학습영역 뉴스로 보는 사회, 뉴스로 보는 세계
학습목표 미래 사회의 변화 모습을 예측하고, 평균 종말의 시대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성찰해본다.
학습자료 1. 신문기사 ① <평균의 함정> / 중도일보 (2021. 4. 08.) ② <평균의 종말과 학력의 허상> / 경남도민일보 (2021. 3. 16.) ③ <이제는 개개인성의 시대 : 평균의 종말> / 중도일보 (2022. 8. 23.) ④ <‘무지출 선언’ 빗발칠 때… 한쪽에선 오마카세 예약 대란> / 파이낸셜뉴스 (2023. 1. 05.) ⑤ <평균 실종은 바람직한가> / 중도일보 (2023. 1. 16.) 2. 동영상 ①[책그림] 평균은 정답이 아니다 방황하는 이를 위한 위로 <평균의 종말>(2018.03.29.) https://www.youtube.com/watch?v=Om6C-gOrPmA ② 2023 소비트렌드 전망, 평균이 사리지고 있다[SBS BIz] (2022. 11. 09.) https://www.youtube.com/watch?v=dRTIdxkxqHU
E-nie여부 Y
해쉬태그
관련교과
홈>고등학교

교수 / 학습활동

문제파악(5분)
수업지도안
동기유발 [생각 열기] 동영상을 보고 질문에 대한 답을 활동지에 정리하기 [동영상 자료] [책그림] 평균은 정답이 아니다 방황하는 이를 위한 위로 <평균의 종말>(2018.03.29.) https://www.youtube.com/watch?v=Om6C-gOrPmA [질문 내용] 1. 평균적인 조종사 신체 치수에 맞춘 시트는 왜 문제가 있었나요? 2. 왜 자신이 평균과 다르다고 두려워할 필요가 없을까요? 3. 평균에서 벗어난 나만의 독특함은 무엇인가요?
유의점/준비물 노트북, 활동지, 펜
문제확인/목표제시 평균 종말의 시대, 나타나는 사회 모습은 어떠한가? 평균 종말의 시대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유의점/준비물 노트북, 활동지, 펜
문제해결(30분)
수업지도안
유의점/준비물 1. 각자의 입장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자유로운 비경쟁토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2. ‘평균 실종’이라는 사회적 현상을 살펴보며 평균을 중시하는 것이 무조건 나쁘다는 식의 이분법적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기사읽고 생각 넓히기 [전개] 생각 나누기 [‘평균’의 사회현상 분석하기] 비경쟁토의 모둠 구성하기 ① 모둠 구성하기 (3~4인으로 구성) ② 역할 나누기 ( 조장 – 발표자 – 기록자 – 토론자) ③ 모둠이 구성되면 각자 활동지에 제시된 글을 읽고 활동지 작성 후 모둠원들과 토론을 한다. ④ 내용에 대한 의견을 모두 이야기할 수 있도록 발표 시간을 2분 이상 넘기지 않도록 한다. ⑤ 모둠에서 나온 이야기를 기록자가 잘 정리해서 발표할 수 있도록 한다. 모두가 능동적으로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한다. 비경쟁토의를 위해 3-4인 모둠 구성하기 기사 자료를 읽고 학습지 질문에 답하기 기사에 실린 내용을 토대로 우리 사회 ‘평균’이 갖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기 우리 사회 ‘평균의 종말과 학력과의 관계’에 대해 모둠 친구들과 토의해 보기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 친구들과 토의하고 자신의 생각 정리해 보기 평균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자신의 고유성을 찾는 것이 왜 중요한지, 이것을 깨닫기 위한 세가지 원칙에 대해서 살펴보기 대학 입시나 대학 문화가 개개인성을 존중하는 것으로 변화된다면 사회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지 생각해 보기 우리 사회가 개개인성을 존중하는 교육으로 변화되기까지 어떤 난관이 있는지 모둠별로 생각해 보기 [신문 자료] 가. <평균의 함정> / 중도일보 (2021. 4. 08.) 나. <평균의 종말과 학력의 허상> / 경남도민일보 (2021. 3. 16.) 다. <이제는 개개인성의 시대 : 평균의 종말> / 중도일보 (2022. 8. 23.) 라. <누가 우리를 1등과 꼴찌로 내몰고 있는가? / 중도일보 (2022. 6. 28.) [질문 내용] 1. (가)에서 필자는 신체검사, 성격유형검사, 지능검사가 가진 문제점이 무엇이라고 이야기하나요? 2. 우리에게 가변형 사고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3. (나)에서 언급된 토드 로즈의 ‘평균이라는 허상은 어떻게 교육을 속여왔나’라는 말을 토대로 ‘학력’이란 개념이 가진 문제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세요. 4. (나)에서 필자가 말하는 새로운 학력관으로 ‘참학력’이란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인가요? 5. (다)에 제시된 내용을 토대로 평균이라는 개념이 교육에 어떤 문제를 가져오는지 이야기해 보세요. 6. 표준화된 인재를 양성했던 과거와 달리 초연결 기반의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어떤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지 친구들과 토의해 보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보세요. 7. 개개인성에 주목하며 대학이 변하면 어떻게 될까요? 8. 우리 사회 교육 분야에서 과연 ‘평균의 종말’은 올 수 있을지 친구들과 토의해 보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보세요. [전개] 생각 넓히기 [‘평균 실종’의 소비트렌드 살피기, 평균 상종의 시대는 과연 바람직한가 토의하기] 동영상을 보고 소비트렌드와 관련해 평균 실종의 의미와 유형별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기 평균 실종 트렌드에 우리가 취해야 할 전략은 무엇이 있는지 모둠별로 이야기해 보기 [동영상 자료] ① 2023 소비트렌드 전망, 평균이 사리지고 있다[SBS BIz] (2022. 11. 09.) https://www.youtube.com/watch?v=dRTIdxkxqHU [질문 내용] 1. 평균 실종의 의미는? 2. 평균 실종의 3가지 유형은? 3. 평균 실종의 유형별 사례는? 4. 평균 실종 트렌드에 우리가 취해야 할 전략은? 기사를 보고 평균 종말의 시대, 양극화 소비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기 우리 사회의 평균 실종은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 앞부분 논의와 연관하여 모둠별로 토의하고 발표해 보기 [신문 자료] 가. <‘무지출 선언’ 빗발칠 때… 한쪽에선 오마카세 예약 대란> / 파이낸셜뉴스 (2023. 1. 05) 나. <평균 실종은 바람직한가> / 중도일보 (2023. 1. 16.) [질문 내용] 1. (가)와 (나)를 참고하여 평균 종말의 시대, N극화 소비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봅시다. 2. 우리 사회의 평균 실종은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 학급 친구들과 토의해 봅시다.
정리(5분)
수업지도안
마무리 모둠별 토의 및 발표 내용을 토대로 우리 사회의 평균 실종 현상을 바라보는 나의 관점 정리하기 ․ 학생들이 각자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발표하게 한다. ․ 다음 차시를 예고한다.
유의점/준비물 노트북, 활동지, 펜
도움말

수업지도안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