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지도안
작성자 | 이혜영 |
---|---|
차시 | 1 |
대상 | 고등학교 |
주제 | 고독사 예방하는 개인적, 사회적 연결고리 |
학습영역 | ‧2015개정 사회·문화(신형민) Ⅰ.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2015개정 기술‧가정(김기수) Ⅱ.가정생활 문화와 가족의 안전 Ⅲ.자원 관리와 생애 설계 |
학습목표 | ‧관련 성취기준 [12사문01-01]사회·문화 현상이 갖는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관점을 적용하여 사회·문화 현상을 설명한다. [12사문05-03]저출산·고령화와 다문화적 변화로 인해 대두되는 과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12기가03-05]노년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립적인 노후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요구되는 생활 역량을 추론하여 제안한다. ‧핵심 질문 1.고독사가 증가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 2.고독사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이유를 개인과 국가의 행복 측면에서 말할 수 있는가? 3.고독사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 사회 돌봄 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가? |
학습자료 | [동기유발 영상 자료]JTBC News 죽기 전 메모엔 구직 노력 빼곡... 젊어진 고독사(2022.09.01.) https://www.youtube.com/watch?v=Rzvx7LCGhnw [자료 1] 예정된 미래, 고독사 [매일신문 2023. 01. 14. 19면] [자료 2] 고독사와 사회적 타살 [중부매일 2023. 01. 26. 10면] [[자료 3-1] 주위 돌아보는 따뜻함으로 고독사 막아야 [부산일보 2023. 01. 20. 21면] [자료 3-2]‘사회적 고립’ 문제, 촘촘한 대책 필요 [동아일보 2023. 01. 11. 29면] [자료 4] 돌봄 사회를 위한 사회정책의 전환 [한겨레 2023. 01. 10. 27면] |
E-nie여부 | Y |
해쉬태그 | |
관련교과 |
홈>고등학교>고등학교전체>사회>사회문화(법포함)
홈>고등학교>고등학교전체>윤리/도덕>가치/도덕
|
교수 / 학습활동
문제파악(5분)
동기유발 | MBC News 월 27만 원 노인 일자리, 용돈벌이 허드렛일? (2022.09.01.) https://www.youtube.com/watch?v=Ost2rKD2e-Y • 위 영상을 보고 ‘고독사’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나 느낀 점을 이야기해 보자. 또한 ‘고독사’의 원인이 무엇인지도 생각해 보자. |
---|---|
유의점/준비물 | ·누구나 사람은 죽기 때문에 고독사가 문제인 이유를 찾기 어려워하는 학생에게 살아 있는 동안 개인의 삶의 질과 사회, 국가의 안전과 발전을 정신적, 신체적, 경제적, 문화적, 복지적 차원에서 다각도로 생각해 보게 한다. |
문제확인/목표제시 | |
유의점/준비물 |
문제해결(30분)
유의점/준비물 |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마다 독거 노인을 위한 돌봄 서비스가 상이하므로 각 기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지역의 신문 기사를 찾아보면서 행해지고 있는 돌봄 서비스 사례를 찾아보게 한다. |
---|---|
기사읽고 생각 넓히기 | [자료 1] 예정된 미래, 고독사 [매일신문 2023. 01. 14. 19면] 1-1. 우리나라에서 고독사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1-2. 죽음의 이유와 형태는 다르더라도 인간은 누구나 죽음을 맞이한다. 그럼에도 고독사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이유를 개인과 국가의 행복 측면에서 이야기해 보자. [자료 2] 고독사와 사회적 타살 [중부매일 2023. 01. 26. 10면] 2-1. 고독사의 증가 원인을 사회의 구조적 결함으로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2-2. 지방자치단체에서 고독사 예방을 위해 펼치고 있는 복지 시스템 사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자료 3-1] 주위 돌아보는 따뜻함으로 고독사 막아야 [부산일보 2023. 01. 20. 21면] [자료 3-2]‘사회적 고립’ 문제, 촘촘한 대책 필요 [동아일보 2023. 01. 11. 29면] 3.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한 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서 고독한 삶을 살아가는 당사자와 이웃이 실천할 수 있는 일을 알아보자. [자료 4] 돌봄사회를 위한 사회정책의 전환 [한겨레 2023. 01. 10. 27면] 4. 가정붕괴와 실직으로 사회적으로 고립된 중장년 남성과, 환자나 장애인 가족을 부양하는 청년층이 새로운 고독사 위험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고독사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 돌봄 정책이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 알아보자. |
정리(5분)
마무리 | |
---|---|
유의점/준비물 | <주제 관련 도서 및 동영상 안내> ① [도서]고독사를 피하는 법 / 리처드 로퍼 저 / 진영인 / 민음사 / 2021년 05월 ② [도서]고독사 워크숍 / 박지영 저 / 민음사 / 2022년 06월 ③ [영상]KBS News“설 인사하러 갔는데, 숨진 아버지”…70대 노인 고독사 추정/해마다 3천여 명 고독사…5060 남자가 절반/ 2023년 1월 24일(화) https://www.youtube.com/watch?v=z0XaWojLGnA |
도움말 |
수업지도안 첨부
수업지도안 | |
---|---|
활동지 | |
예시답안 | |
10분 NIE |